사람이 사라진 도시에 구멍이 숭숭 > 뉴스 모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모음

사람이 사라진 도시에 구멍이 숭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3-26 21:55 조회 94회 댓글 0건

본문

위성 서비스 기업 나라스페이스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경북 봉화군에 발생한 도시 천공은 16건으로 전체 면적은 1만140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위성 서비스 기업 나라스페이스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경북 봉화군에 발생한 도시 천공은 16건으로 전체 면적은 1만140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서울대 박윤미 교수 연구진과 나라스페이스는 2015년과 2022년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가장 높은 경상북도 봉화군을 세 구역으로 나누어 도시 천공 현상을 탐지했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서울대 박윤미 교수 연구진과 나라스페이스는 2015년과 2022년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가장 높은 경상북도 봉화군을 세 구역으로 나누어 도시 천공 현상을 탐지했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사람이 떠나고 버려지는 빈집이 늘고 있다. 빈집 문제는 전국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부산 같은 대도시부터 울릉도 같은 섬에 이르기까지 규모와 위치를 가리지 않는다. 인구 감소 현상을 겪는 인구 30만명 미만의 중소도시와 농어촌은 상황이 심각하다. 빈집이 늘면 쓰레기가 버려지거나 범죄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을은 사라지고 치안과 보건, 교통 같은 공공 서비스도 결국 중단될 위기를 맞는다.

연구진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는 2015년과 2022년 항공 영상을 이용해 경북 봉화군을 세 구역으로 나눠 천공 현상을 살펴봤다. 지난 2015년 봉화군 석포면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에 있던 건물이 2022년에는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는 2015년과 2022년 항공 영상을 이용해 경북 봉화군을 세 구역으로 나눠 천공 현상을 살펴봤다. 지난 2015년 봉화군 석포면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에 있던 건물이 2022년에는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정부는 2023년 법을 정비해 도시와 농어촌에 버려진 빈집 철거를 독려하고 있다. 집이 있던 자리는 대부분 공터로 남는다. 도시에 흡사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도시 천공’으로 불리는 현상이다. 일부 학자들은 칼슘이 빠져나가면서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리는 증상과 비슷하다고 해서 도시의 골다공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빈집 철거 후 활용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 마련에 필요한 도시 천공 현황에 대한 자료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2015년과 2022년 사이 경북 봉화군 석포 보건지소와 석포역 북쪽 석포3리 입구 인근 건물 일부도 사라지고 그 자리가 공터로 바뀐 모습도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5년과 2022년 사이 경북 봉화군 석포 보건지소와 석포역 북쪽 석포3리 입구 인근 건물 일부도 사라지고 그 자리가 공터로 바뀐 모습도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5년과 2022년 사이 경북 봉화군 석포역 북쪽 석포3리 입구 인근 건물 일부도 사라지고 그 자리가 공터로 바뀐 모습도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5년과 2022년 사이 경북 봉화군 석포역 북쪽 석포3리 입구 인근 건물 일부도 사라지고 그 자리가 공터로 바뀐 모습도 확인됐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7년 새 봉화선 축구장 1.5배 넓이 건물 사라져

2013년과 2023년 항공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경북 상주 서성동 삼백사우나 서쪽과 동쪽에 각각 있던 건물이 사라지고 각각 주차장과 잔디밭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3년과 2023년 항공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경북 상주 서성동 삼백사우나 서쪽과 동쪽에 각각 있던 건물이 사라지고 각각 주차장과 잔디밭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위성 서비스 기업 나라스페이스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박윤미 교수, 안지현 연구원과 항공 사진과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해 국내 지자체 가운데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높은 경북 봉화군과 중소도시인 상주, 김천, 전북 남원의 도시 천공 현상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2013년과 2023년 항공 사진을 분석한 결과 경북 상주 우체국 동편과 서편 건물이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가 제공하는 거리뷰를 보면 이들 공간은 도심 주차장으로 바뀐 것으로 확인된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3년과 2023년 항공 사진을 분석한 결과 경북 상주 우체국 동편과 서편 건물이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가 제공하는 거리뷰를 보면 이들 공간은 도심 주차장으로 바뀐 것으로 확인된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인구과소지역은 거주자가 고령화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가 늘면서 인구의 재생산이 어려울 정도로 줄어든 지역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 따르면 전국 250개 시군구 중 소도시에 속하는 50개의 지역에서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35%가 넘는다. 대도시인 서울이 3.84%, 경기와 인천까지 포함한 수도권이 10.10%인 것과 비교된다. 봉화는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49.81%로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다.

경북 김천에서도 2013년과 2023년 사이 대형 건축물들이 점차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 결과로 대부분 철거지는 다시 새 건물이 들어서지는 않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경북 김천에서도 2013년과 2023년 사이 대형 건축물들이 점차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 결과로 대부분 철거지는 다시 새 건물이 들어서지는 않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딥러닝 기반의 변화탐지(Change Detection)기술을 활용해 경북 봉화에서 일어난 변화를 분석했다. 변화탐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지역을 찍은 영상으로 그사이 나타난 변화를 탐지하는 영상 분석 기술이다.

2013년과 2023년 사이 전북 남원에서도 대형 건축물들이 점차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이들 지역 역시 건물을 철거하고 난 뒤 남은 지역은 공터가 되거나 수풀이 자라는 나대지(빈 땅)로 남았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2013년과 2023년 사이 전북 남원에서도 대형 건축물들이 점차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이들 지역 역시 건물을 철거하고 난 뒤 남은 지역은 공터가 되거나 수풀이 자라는 나대지(빈 땅)로 남았다. /국토지리정보원,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는 2015년과 2022년 항공 영상을 이용해 봉화군을 세 구역으로 나눠 천공 현상을 살펴봤다. 건물이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위치를 중점적으로 탐지했다. 그 결과 지난 2015년 봉화군 석포면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에 있던 건물이 2022년에는 사라지고 공터로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석포제련소는 1970년부터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서 운영되고 있는 아연 생산 능력 세계 4위 규모의 종합 비철금속 제련소다. 같은 기간 석포 보건지소와 석포역 북쪽 석포3리 입구 인근 건물 일부도 사라지고 그 자리가 공터로 바뀐 모습도 확인됐다.

전국 인구과소지역. /나라스페이스
 
전국 인구과소지역.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이 기간에 경북 봉화군에 나타난 천공이 모두 16건에 이르며 그 면적은 1만1400㎡에 이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축구장 넓이의 1.5배, 국내 가구 평균 면적(21평, 70.1㎡)으로 따졌을 때 162가구가 사라진 것과 맞먹는다.

인구과소비율 상위 지역 현황. /나라스페이스
 
인구과소비율 상위 지역 현황.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딥러닝 기반의 변화탐지(Change Detection)기술을 활용해 경북 봉화에서 일어난 변화를 분석했다. 변화탐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지역을 찍은 영상으로 그사이 나타난 변화를 탐지하는 영상 분석 기술이다. /나라스페이스
 
연구진은 딥러닝 기반의 변화탐지(Change Detection)기술을 활용해 경북 봉화에서 일어난 변화를 분석했다. 변화탐지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지역을 찍은 영상으로 그사이 나타난 변화를 탐지하는 영상 분석 기술이다. /나라스페이스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박윤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네이버 지도 거리뷰 서비스로 살펴본 경북 상주 도시 천공 지역. 옛 건물이 철거된 뒤 한동안 공터였다가 도심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 지도 거리뷰 서비스로 살펴본 경북 상주 도시 천공 지역. 옛 건물이 철거된 뒤 한동안 공터였다가 도심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네이버

상주와 김천, 남원에도 곳곳 구멍

변화탐지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도시에선 새롭게 나타난 크고 작은 천공 현상을 포착하는 데 사용된다. 박 교수는 “도시 천공 현상을 대규모로 확인하면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변화탐지 기술을 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7942.or.kr. All rights reserved. Master : Park Ki Young